사회 전 분야에 걸쳐 점차 고도화되고 전 방위적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다양한 보안위협이 우리 모두가 직면한 현실이라는 사실을 직시, 이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대응책 마련에 기여
5G 상용화로 인한 초연결 시대의 본격적인 도래를 맞이하여 스마트시티, 자율주행, 인공지능,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에 대한 보안 강화에 이바지
아시아-중남미-아프리카-유럽-중동 지역 등 국내 보안 솔루션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킹 및 비즈니스 장 마련
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는 비대면·비접촉 중심 보안 패러다임의 변화와 트렌드를 적시에 반영 |
코로나 사태로 방역이 중요해지는 현실을 감안해 방역과 보안을 함께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‘방역+보안’ 통합시스템 구축방안과 활용사례 공유 |
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정보보호전문가 협의회인 (ISC)2 를 비롯해 50여 곳에 이르는 유관기관 및 단체의 후원과 회원(사)들의 참여로 보안 분야 저변 확대와 인식 제고에 기여 |
지자체/ CISO/ 국방/ 의료/ 경찰/ CCTV AI 관제/ 방역+보안/ 산업보안 등 각 분야별·산업군별 동시 콘퍼런스 개최로 보안산업 저변 확대 |
보안의 글로벌화·융합화·지능화 트렌드를 반영, 사이버 보안과 영상보안 및 출입통제를 비롯한 물리보안과 융합보안에 이르기까지 모든 보안 분야 이슈 논의 |
ISEC 참관객인 정부부처·공공기관·지자체·기업 등의 보안담당자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보안관련 정책과 개선방안 제언 |
휴대폰 인증을 통해 실명을 확인하고, 실제 보안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유관업무 종사자만 사전등록을 승인하는 ‘참석자 실명인증제’ 도입 |
행사 기간중 현장 투표와 설문조사, 현장 모니터링 평가 등을 통한 ‘ISEC 2020 베스트 스피커 어워드' 진행, 주제발표 콘텐츠 질적 향상 및 강연수준 제고 |
2007년 시작,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 통합 보안 콘퍼런스 |
|
ㆍ | 사이버 시큐리티 분야와 물리적 보안 분야를 관통하는 가장 큰 이슈인 5G, 인공지능(AI) 및 지능화 추세와 각 산업별 융합보안 이슈 논의 및 실질적인 대응방안 제시 |
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정보보호전문가 협회인 (ISC)2 공동 주관 |
|
ㆍ | (ISC)2의 공동 주관으로 해외유수의 글로벌 기업들 참가 및 주제 발표 |
유관기관 및 단체와 함께 동시개최 행사 활성화를 통해 시너지 극대화 |
|
ㆍ | 정부부처, 지자체, 유관 기관 및 단체와 다양한 프로그램 동시 개최를 통해 시너지 효과 극대화 |
ㆍ | 사회 각 분야에 걸친 보안이슈에 대한 실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보안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하고 수요창출과 인식 제고에 기여 |
보안관련 협업 실무자와 기업 CEO/ CISO/ CPO/ CSO/ 보안담당자 대상 교육 확대 |
|
ㆍ | 사회 각 분야별, 업종별 CEO, CISO, CPO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 |
- 기업 및 기관의 CEO 대상 정보보호 교육 확대 | |
- 제7회 CISO 워크숍 개최, 현장 노하우 전수 및 업종별 CISO 인적 네트워크 형성 | |
‘ISEC 2020 베스트 스피커 어워드' 개최, 콘텐츠 질적 향상 및 강연수준 제고 |
|
ㆍ | 강연의 질적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‘베스트 스피커 어워드’ 진행 |
ㆍ | ISEC 2020 콘퍼런스 양일간 참관객 투표와 설문조사, 현장 모니터링요원 평가 등을 통해 선정 |
ㆍ | 선정된 강연자는 별도의 시상식을 통해 시상하고, 강연영상은 ISEC 홈페이지와 보안뉴스에 게재 |